반응형 YAML2 Yaml 파일 객체화 yaml 파일 읽기 snakeyaml 이번 포스팅에서는 .yaml 파일을 읽어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snakeyaml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이고, 의존성 주입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! Link :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yaml/snakeyaml 1. gradle 의존성 주입 implementation group: 'org.yaml', name: 'snakeyaml', version: '1.33' 2. test.yml 파일 생성 [test.yml] user: name: aljjabaegi blog: aljjabaegi.tistory.com 3. yaml 파일을 구조체할 class 생성 [YamlTest.java] import lombok.Getter; import lombo.. Programing/JAVA 2023. 2. 17. springboot properties to yml, yml 파일로 변경, profiles 설정 springboot properties to yml, yml 파일로 변경, profiles 설정 springboot의 설정파일인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을 application.yml 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properties, yml 차이 properties 파일은 key=value 의 구조를 갖고 yml 파일은 properties 파일에서 반복되는 접두사를 줄인 계층적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두 파일 데이터의 차이를 보시죠. List 구조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. proflie 설정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. properties의 경우 파일을 분리하여 proflie 설정을 해야 했지만, yml은 한 파일 내에서 profile 분기가 가능합니다. --- 구분자를 사용.. Programing/Springboot 2022. 5. 18. 이전 1 다음 💲 추천 글 반응형